RSI 다이버전스
코인과 주식 영역에서 많이 사용하는 보조지표인 RSI
RSI를 통하여 매매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겠습니다.

해당차트는 비트코인 60분봉 캔들과 거래량 그리고 아래에 RSI 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RSI가 70선을 넘어가게되면 과매수 구간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과매수 구간에 들어가면 롱포지션을 정리하고 숏포지션을 잡습니다.
RSI가 30선 아래이면 과매도 구간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과매도 구간에 들어가면 숏포지션을 정리하고 롱포지션을 잡습니다
위의 점선이 70선, 아래의 점선이 30선 입니다.
하만 70선 위로 올라가서 과매수 구간이기 때문에 떨어질 것이다. 라고 생각하고 숏을 쳤지만
더욱 상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 30선 아래로 떨어져서 과매도 구간이니 올라갈거다 생각하고 롱을 잡았지만 지속적으로 하락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위의 2가지의 이론을 가지고 매매를 하시는분도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하 위의 2가지 이론을 가지고 매매하는데 위험이 따릅니다. 여기서 좀 더 확신을 심어주는것이 다이버전스 입니다.

해당구간을 보시게되면 이미 RSI는 70선 위로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였고
차트 또한 더이상 올라가지 못하며 점점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이 안에서도 하락다이버전스가 발생이 되었으며 이후 하락하게 됩니다.
우선 다이버전스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다이버전스는 두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첫번째 "다이버전스", 두번째 "히든다이버전스"
총 2가지의 경우가 존재합니다.
1. 상승다이버전스

위의 분홍색이 차트이고 아래의 하늘색선이 RSI입니다.
차트는 이전 바닥보다 더 내려온 상황에서 RSI는 이전 바닥보다 내려오지 않았습니다.
이럴경우 상승다이버전스 일명 "상다"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2. 히든상승다이버전

차트는 이전 바닥보다 덜 내려온 상황이고 RSI는 이전바닥보다 더 내려온 상황입니다.
이러한 경우 히든상승다이버전스 일명 "히든상다"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3. 하락다이버전스

차트를 보면 전 고점보다 더 올라간 상황에서 RSI는 전 고점보다 더 올라오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경우 하락다이버전스 일명 "하다"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4. 히든하락다이버전스

차트가 전 고점을 넘지 못한 상황에서 RSI는 전 고점을 넘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경우 히든하락다이버전스 일명 "히든하다"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RSI 다이버전스에서는 이러한 총 4가지의 경우의 수가 존재하며, 보편적으로 다음 봉 마감까지 체크를 하여 확정인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1시간봉, 4시봉에서 주로 체크를 하고 활용하는 편입니다.
1시봉, 4시간마감 캔들에서 마감전까지는 의심을 하는 편이며 봉마감 이후 확정이 났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말아올리거나 말아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감까지는 꼭 체크를 합니다.
제가 매매시 주로 사용하는 보조지표이며 보조지표는 말 그대로 보조지표 입니다.
히든확정은 과매수, 과매도 구간에서 확정되었을 때 이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다이버전스, 히든다이버전스가 RSI에서 발생시 자동으로 표시해주는 스크립트를 사용합니다.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차트를 보시면 올라가기전 60분봉에서 히든상승다이버전스가 발생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려올때는 마찬가지로 하락다이버전스가 발생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이미 RSI는 과매수 구간에 들어갔고 히든상승다이버전스가 발생되었지만 무시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같은 시간대의 4시간봉 차트입니다. 아래에서 상승다이버전스가 발생이 되었으며 차트가 상승하며 히든하락다이버전스가 발생되었지만 과매도 구간이 아니기 때문에 무시하고 상승다이버전스의 힘으로 올리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매매에 RSI의 다이버전스를 활용하여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RSI 보조지표 사용방법
상다 : 강한 상승 예
히든상다 : 약한 상승 예상
하다 : 강한 하락 예상
히든하다 : 약한 하락 예
RSI 실시간 알림
텔레그램 채널에서 실시간 알림을 받아보세
Last updated